본문 바로가기
프라모델 다이어리/아카데미

[언박싱 & 리뷰] 아카데미과학 F-35B 그린나이츠 - 간만에 비행기

by VM 2021. 4. 17.

▲ 요즘에 이분 박스아트 많이 쓰네요.

색칠은 안 하고 계속 조립만 즐기는 요즘, 군 제대 이후 처음 비행기에 도전해 봤다.

예전에는 프롭기를 좋아했는데 분위기 전환도 해볼 겸 현용기를 골랐다.

성실한 모형 생활과는 거리가 멀게 박스 오픈만 하고 있다 보니 색칠에 대한 관심이 멀어진 건 아닌가 싶다.

 

 

 

▲ 요즘나오는 아카데미 제품은 완성된 모형 사이즈랑 같이 박스 치수도 옆에 적어주나보다.

잘 짜인 포맷은 무의식적으로 일관성을 느끼게 해 준다.

 

 

아카데미과학 ITEM 12569 (2020년 출시)

1/72 USMC F-35B VMFA - 121 그린나이츠

 

[1/72] 12569 USMC F-35B VMFA-121 그린나이츠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

academy.co.kr

 

▲ 주말 모형 박스 오픈!

아카데미에서 나온 솝위드 카멜, 포케불프, 메서슈미트 정도만 만들어 봐서인지 1/72 스케일이지만 꽤나 풍성해 보인다.

최근 제품은 설명서도 좋은 종이에 컬러로 인쇄되어있고 아카데미 본사 홈페이지에서 PDF로 다운로드도 가능하다.

(그런데 각 제품의 상세페이지 상단 URL 주소복사 버튼은 음... 버튼으로 인식은 하는데 주소 복사가 안된다.)

 

 

 

▲ 봉투 뜯다가 갑자기 떠오르는 망상.

최근 타미야 제품의 비닐봉지를 뜯다가 얘네는 왜 스테이플러를 고집하나 궁금했다.

평소 분리배출을 꼼꼼히 하는 편이라 찐득한 스티커, 무분별한 스테이플러 심을 싫어하는지라 타미야 언박싱 하면서 떠오른 의문이었다.

어차피 금방 휘발되고 까먹을 궁금증이었는데 오늘은 또 갑자기 아카데미 제품을 뜯으면서 '제품 구경만 하고 다시 넣을 수 있게 배려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스쳐 지나간다.

 

그러고 보면 저렇게 히트 실링을 한 봉투는 예쁘게 뜯기도 어려울뿐더러 상당히 얇고 뻣뻣한 재질이라 한번 오픈하면 다시 비닐 백에 넣기 번거롭긴 하다.

반면 타미야의 경우는 봉투를 안 찢어도 되고 재질도 연질에 충분히 두터워서 런너 구경만 하고 다시 온전히 봉투에 보관할 수 있다.

(딱히 타미야가 더 좋다는 비교가 아니라 평소 쓸데없는 생각을 많이 하는 편이다.)

 

 

 

▲ 권장 소비자가 24,000원 기준 1그램당 118원!!! (100원을 넘었어!)

포르쉐보다 비싼 키트에 당당하게 입성.

아... 이 가격이면 인형 좀 넣어주시지.

뻔한 레파토리지만 돈(비용) 아니면 인력(내부 인력이냐 비싼 외주냐) 문제이지, 의지의 문제일 수도 있는 겁니다. (응?)

 

 

 

▲ 런너 A

뭔가 샤프하고, 사프 하다.

사방이 슬라이드 금형.

현용기는 아주 옛날에 아카데미 A-10(조립)이랑 F-14(색칠까지)만 만들어 봤어서 뭔가 생소한 기분이다.

 

반다이 제품에서 감동했던 런너 태그가 비슷하게 적용되었다.

저렇게 런너 코드를 타공 해주면 가시성, 가독성도 좋다.

아카데미과학 회사 로고 대신 제품 정보를 각인해 놓으면 OEM 발주받아도 불필요한 금형 수정이 필요 없다.

 

그러고 보니 예전에 조립만 깔짝깔짝하다가 지금은 어디론가 없어진 하세가와의 마크로스 VF-1J를 만들면서 현용기를 떠올렸던 것과 반대로 현용기에서 리얼계 SF 키트를 만지는 느낌이다.

 

 

 

▲ 저 패턴 아직 적응이 안된다. 내가 촌스러운건가?

최근 아카데미의 비행기 신상들은 핀 게이트로 뽑은 제품이 많이 보이는데 그 시작은 모르겠다.

작은 섬처럼 떠다니는 특이한 패널 디자인은 내 실력으론 사실적으로 색칠하긴 어렵겠다.

맘대로 칠할까?

 

 

 

▲ 뽑기운이 안좋나?

박스 오픈하고 한참 지나서 발견한 불량.

기체 상부 오른쪽 공기 흡입구가 빨간 원 안처럼 성형 불량이 있다.

사출 압력이나 온도 조절에 따른 수축으로 의심되는데, 성형 이후 물리적 외상을 빼고는 수지의 양, 사출 속도나 보압력, 수지와 금형 온도에 따라 몰드 쇼트, 수축(sink mark, 히케 ヒケ), 웰드 라인(weld line), 혹은 플로우 마크(flow mark)등의 불량이 생긴다.

무튼, 시작도 하기 전에 살짝 귀찮아진다. (맴상 휴ㅁ휴)

 

녹색으로 표시한 리프트 팬 옆부분은 맨눈에 보일 정도로 표면이 거칠다.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면은 또 마감이 말끔해서 상대적으로 거친 부분이 눈에 띈다.

그냥 칠하면 표가 안 날 정도의 거칠기라 양산으로 넘어간 건지는 모르겠지만 서페이서 뿌려보고 수정할지 미리 갈아줄지 또 고민.

(저 정돈 금형 수정되지 않나? 사실은 된다. 소위 현장에서도 주로 쓰는 '미가끼磨(みが)き'작업으로, 그러니까 그냥 금형만 갈아주면 되는 단순노동이다. 아, 물론 그렇다고 생각 없이 막 간다는 얘긴 아니다.)

 

 

 

▲ 슬라이드 금형은 이제 보편화됨.

부품 두 개로 나누면 만드는 입장에서 접합선 수정을 해야 하고, 한 부품으로 하면 부품이 두꺼워지는 만큼 수축이 생기므로 이런 슬라이드 금형을 남발하시면 완전 감사!

조립 편하라고 마이너스 몰딩을 슬라이드 금형으로 사방에서 밀어줬다.

진작에 좀 남발해 주시지... ㅎ

 

 

 

▲ 잘 나가다가 탁월한 빠꾸를... 바... 바리가... 밀핀자국 쩜.

밀핀 자국은 플러스 몰드로 안되나?

밀핀 자국이 마이너스가 아니거나 들어가도 얇은 것도 있던데, 금형 설계상 조절 가능한 거라면 이래저래 손 가는 거 그냥 갈아버리면 되는 플러스가 좋다고 본다.

탱크의 경우 연결식 캐터필러에 저런 마이너스 밀핀 자국이 도드라지는 곳에 있으면 머리에 쥐 난다.

오른쪽 날개의 롤 노즐Roll Nozzle 도어에 해당하는 A3부품에 지느러미(Burr, 바리)가 생각보다 심하게 성형되었다.

 

 

 

▲ 뚫어줘야 함.

녹색 점선 원 안은 홈을 따라 뚫어줘야 한다.

핀 바이스가 필요하겠다.

참고로 하세가와 제품도 이렇게 설계되어 있다.

 

 

 

▲ 파일런 고정 홈을 파줘야한다. 이탈레리도 같은 설계.

파일런을 장착하지 않을 경우 뚫지 않는 게 미관상 좋으므로 이렇게 뚫어주는 옵션은 배려심이 있다고 본다.

뚫기 전에 파일런에 몰드 된 핀의 지름을 캘리퍼스로 체크하고 같은 사이즈의 핀 파이스 날로 뚫어주면 되겠다.

설명서에 몇 미리로 뚫으라고 알려주면 좋으련만, 대충 봐도 파일런에 몰드 된 +핀의 직경이 조금씩 다르다.

 

 

 

▲ 런너 B

내부 무장창과 각종 플랩, 도어, 일부 무장, 렌딩기어 부품들.

안쪽 디테일을 기대할 정도는 아닌 구성이다.

상식적인, 예상 가능한 부품 분할이다.

 

 

 

 

▲ 웨폰 베이는 적당히 디테일함.

스텔스 기능을 위한 내부 무장창 실물사진(B형)을 찾아보니 기절할 정보량(A형)으로 가득하다.

1/48 스케일로는 별매로 디테일 업 파츠가 있는데 1/72는 못 찾았다.

다만 A형을 재현한 이탈레리가 1/72 스케일에서 재현한 디테일 완전 압승!

 

아이폰의 애플이 복잡한 배선들을 다 안에 넣어 도어를 열어도 군더더기 없이 무기만 보이게 만든 모습을 상상(기대)해 버렸다.

내 맘대로 사고의 흐름은 애플 감성으로 색칠해볼까?라는 엉뚱한 생각으로 빠진다.

(사과 스티커가 어딨더라?)

 

 

 

▲ 왼쪽 아래 부품의 경우 도어 힌지를 슬라이드 금형을 써서 강도 확보.

금형 설계자분들은 다들 모형을 즐기시는 분들이려나?

전형적인 쓸데없이 궁금한 게 많은 모델러다 보니.

대외적으로 노출이 거의 없는 분들이라...

 

 

 

▲ 런너C

사진 찍는 방 창문으로 햇빛이 들어와서 오른쪽 위쪽이 밝게 찍힌다.

무수지 접착제도 잘 나오고 조립성도 좋은 요즘이라 색칠 안 해도 대충 짜세는 나올 거 같다.

제조사에 잘 보이고자 조립성에 방점을 찍으려 애쓰는 키트 평가 트랜드?는 심화학습 빠진 역사 과목 요점정리 같달까.

(3D 설계에 알루미늄 금형 덕에 향상된 조립성은 단순히 하드웨어 투자에 기인하는 걸 텐데... 그렇다고 사람 손 많이 가는 후 공정을 절대 무시하는 건 아니지만, 예전 금형 제작 환경이라면 조립성 확보가 지금처럼 쉽지 않을 것.)

 

 

 

▲ 생략할 건 과감히 버리고 기왕 만들 부품은 예리하게 잘 빼줬다.

샤프하고 적당한 두께의 몰딩이 잘 빠졌다.

많은 걸 기대하는 키트라기보다 기본적으로 실루엣이 잘 빠지기만 해도 평균은 하는 카테고리다.

현용기 특성상 디자인이 멋지거나 큰 이슈몰이 중인 기체라면 제조사 입장에서 안 만들 이유가 없기도 하고.

 

 

 

▲ 부품 두개로 나뉠 걸 하나로!

꼬리날개의 두꺼운 부분은 슬라이드 금형으로 뽑아서 조립하는 공정이 줄고 편해짐.

직접 본건 아니지만 이탈레리 제품은 저 빈 공간을 기준으로 위아래 부품으로 조립하게 되어있다.

CAD와 3D 설계가 가져온 상향 평준화된 프라모델 키트 조립성에 멋진 아이디어는 만드는 재미를 더해준다.

 

 

 

▲ 런너D

F135 터보팬 엔진의 스위블 구동하는 부품이 민짜라 좀, 아니 많이 허전하다.

하세가와처럼 가동식 까지는 아니더라도 주기형태(수직 이착륙)에서 노출되는 면적이 넓은 부품이라 살짝 몰드를 새겼더라면 좋았을 텐데, 금형으로 몰드를 파지 않더라도 3D 로우 폴리곤 모델링에서 매핑하듯이 실사 사진을 인쇄한 전사지를 써도 적절한 눈속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봤다.

키트에 들어있는 옵션 파츠가 그리는 각도가 원하는 모양이 아니라서 직선으로 뻗은 크루즈용 노즐을 이용해서 사진에 자주 보이는 V/STOL 노즐로 꺾어볼까 한다.

 

 

 

▲ 허전해 보이는게 원래 그런 듯.

캐노피는 닫을 예정이라 더 정밀해서 뭐하냐 싶으면서도 뭔가 허전해 보인다.

옵션질 없이 최대한 빨리 완성까지 가보자가 목표.

 

 

 

▲ 뽑기운이 안좋나? 휘어있다.

내부 프레임을 별도 파츠로 넣어준 건 좋은데 부품 보호 격벽이 제구실을 못해서 저 얇은 부분을 정점으로 휘어있다.

조심스럽게 펴보려니 부러질 거 같고 화살표가 있는 쪽에 삼각형으로 파인 마이너스 몰드의 의미도 모르겠고.

사실은 캐노피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고정하는 홈인데, 이게 프레임이 휘어진 원인이라면 다른 해법으로, 이를테면 마이너스가 아닌 플러스 돌기물로 설계하는 게 맞을 듯.

 

플라스틱 사출 중 난이도가 높은 게 옷걸이처럼 얇고 가는 제품이란 얘기를 들은 기억을 떠올리면, 저 부품이 가늘어서 탈형 직후에 수축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1/72 동일 스케일의 하세가와도 캐노피 내부 프레임은 기본 테두리와 아치를 두 부품으로 나눠서 설계했고 이탈레리는 내부 프레임 없이 캐노피만 들어있는 거 같다.

무튼 유통과정 불량은 아는 듯 하니 출고 검품 좀 잘해주시길.

 

 

 

▲ Aㅏ......

게이트 위치 잡기 참 어려운 디자인 같다.

그래도 게이트가 톱날 노즐 몰드를 막은 건 아니니까 다행이려나?

방전 금형 사출로 생긴 텍스처인지는 모르겠으나 1/72 스케일이라기엔 표면이 많이 거칠다.

 

방전가공으로 생기는 특유의 텍스쳐에 대해서는 국내 모형 관련 커뮤니티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주제다.

'여기 이 부분은 왜 거친가요? -> 그 부분은 방전 금형을 써서 이렇습니다 -> 금형 후가공, 폴리싱으로 매끈하게 가능합니다'가 종종 보인다.

이곳 동영상을 보면 후가공 없이도 방전만으로 거칠게도, 경면(거울면) 처리도 조절 가능하다고 한다.

방전으로 경면 가공하는 것보다 수작업으로 후가공하는 게 더 싸다면 후자 쪽을 택할지도 모를 일이다.

 

 

 

▲ 런너E

동일한 무장 런너 두장.

딱히 특이할 것 없이 불량 없이 조립 잘 되고 몰드만 또렷하면 굿!이다.

무장 때문에 별매 제품을 살 필요 없이 풍성하게 넣어주는 구성은 아카데미의 오랜 전통.

 

 

 

▲ 굳이 여기에 언더게이트를 쓸 필요가 있을까?

조립 중인 포니도 앞 좌석 시트 아래쪽에 언더 게이트를 썼던데, 편하게 조립하라는 기준으로 사용되어 보이진 않는다.

그러니까 여기보다 더 필요했을 부품이 있을텐데...

캐노피를 언더 게이트로 뽑아주면 좋을 거다.

 

 

▲ 파일런도 부품수는 줄이고 디테일은 살리고.

파일런 없는 모델이 더 멋있어 보이는데 쓸지 말지 아직 결정은 못함.

슬라이드 금형을 쓰는 게 더 비용이 더 드는지는 몰라도 위 사진의 부품을 위, 아래, 옆으로 나누면 깎아야 할 부품 면적이 서너 배는 늘어날 거 같긴 하다.

런너 표준 직경, 3mm보다 가느다란 미사일 바디쯤이야 부품을 좌우로 분리하는 것보다 일체형으로 뽑으면서 분사구에 얕은 구멍 정도 추가해 주는 배려는 자동차 바디같은 슬라이드 금형보다 쉽고 손은 덜 갈 거다.

 

 

 

▲ 기수 아래. 노즈 기어 수납 & 리프트 팬 아래부분.

핀 게이트로 눈에 띄는 런너 없이 깔끔하게 뽑았다.

번 게 얼만데, 이 정도 투자는 해야 미래가 보이는 거다.

그나저나 라이트닝 디자인, 이 정도면 마크로스 터치 아님?

 

 

 

▲ 투명도 좋고!

비상 탈출 시 캐노피를 폭파시키는 비상 도폭선(MDC - Miniature Detonating Cord) 몰딩은 생략되어있다.

실기 사진을 보면 캐노피에 틴팅되어있는 거 같은데 이것까지 재현되어있진 않아 색을 칠해줘야 할지 모르겠다.

그러고 보니 한 번도 투명 부품을 '래커'로 틴팅해본 적이 없어 자료 찾아서 테스트를 해보고 칠해야 할 듯.

 

타미야 아크릴 클리어 옐로와 스모크를 래커 시너에 희석해서 틴팅하신 모델러가 있긴 하다.

 

접착은 투명 부품에 백화현상 없이 쓰라고 나온 '하이그레이드 모형용 세메다인'을 써볼 예정.

나중에 리뷰해볼까 한 제품인데 미리 제조사에서 만든 동영상을 보고 예습해 보자.

 

 

 

▲ 기획팀이랑 금형팀이랑 사이가 안좋으신가? 설명서에는 보이는 조립을 위한 핀과 구멍이 부품엔 생략되어있다.

일이란 게 사소한 오류는 있을 수 있지만, 설명서와 실제 설계가 다른걸 보니 뭐지? 싶다.

요즘 아카데미 신제품은 이미 많이 알려진 여러 모형 관련 전문 채널로 시제품(양산품 말고)을 홍보하면서 이 정도 오류를 수정 없이 출시했다는 게 아쉽다.

드라이브 샤프트의 게이트 위치는 위쪽이 아닌 아래로 해주면 사포질 안 해도 되는데 상부 인테이크를 열면 눈에 딱 보이는 위치에 있다.

 

 

 

▲ 리프트 팬 드라이브 샤프트(2mm)가 살짝 얇은 느낌. 게이트 자국도 보인다.

드라이브 샤프트 굵기가 실기 사진을 보면 두배까진 아니더라도 최소 1.5배 이상 두꺼워 보인다.

이게 착시로 굵게 보이는 건지는 모르겠으나 부품 대신 런너(3mm)를 넣어보고 실물 사진이랑 비교해봐도 미묘하게 얇게 보이는 정도.

웹에서 찾을 수 있는 대부분의 도면 자료나 타사 제품을 보면 아카데미가 잘못 재현했다고 단정하긴 어렵다.

어차피 파팅라인이랑 게이트 자국 없는 플라봉으로 교체할 생각이었는데 괜히 검색했나?

(이럴 땐 모르는 게 약!)

 

 

 

▲ 가조립해본 조종석. 시트를 넣으니 그래도 뭔가 있어보인다.

비행기 모형에 인형 좀 넣어주면 좋으련만 역시나 없다.

모형 커뮤니티만 보고 있자면 인형 강국 꼬레아인데, 정작 우리나라 제조사는 인형 추가에 인색하다.

1/32 스케일은 가격도 있고 해서 그런지 잘도 넣어주더만, 아쉽더라도 1/72 인형이 없으므로 따로 별매품을 사야 할 듯.

그런데 그 일이 일어났어요!

(옵션질 하기 싫지만 인형 없이 이/착륙 상태로 만드는 것도 난센스라 어쩔 수 없다.)

 

Martin-Baker MK 16 이젝션 시트는 나름 잘 만들어서 만족하는데, 다시 눈이 가는 저 공기 흡입구 성형불량은 속이 쓰리다.

 

 


 

 

다른 건 몰라도 이건 고쳐야지!

▲ 일주일 동안 잘 말려야지. 다음주에 봅시다.

베이식 퍼티로는 약할 거 같고, 에폭시도 쉽게 떨어질 거 같고.

같은 소재라면 상성도 좋고 내구성도 좋을 듯싶어 런너를 무수지 접착제로 녹여서 땜빵.

 

일반적으로 잘게 자른 런너를 무수지 접착제랑 섞은걸 하루 정도 지난 다음 사용하는데, 기다리기 귀찮아서 굵은 사포로 런너를 가루로 만들고 무수지 접착제로 바로 녹여서 사용했다.

사진처럼 접착제가 고일 정도로 너무 묽게 녹았는데, 웬만큼 런너가 녹았을 때 종이에 무수지를 흡수시키고 녹은 PS가루를 키트 표면에 발라줬다.

사포질만큼은 충분히 마를 때까지 기다리고 갈아야겠다.

 

이 방법은 새로울 것도 없는 오래된 꼼수로 색칠하기 귀찮은(?) 건프라 쪽에서 자주 사용한다.

잡지 기사나 블로그, 유튜브로도 볼 수 있는 보편화된 제작 팁이므로 런너 퍼티(ランナーパテ)로 검색해서 원하는 정보를 찾아보자.

 

반다이가 건프라 뽑듯이 밀리터리 라인업을 출시해주면 프라모델 시장이 어떻게 변할까 궁금해진다.

전설의 MSV뿐 아니라 95년 MG시리즈로 건프라 붐을 견인한 카와구치 명인도 업계에서 알려진 밀리터리 마니아라던데.

타미야와 반다이의 중간 접점이 아닌 아예 두 회사의 장점을 합쳐버린 막강 제조사의 등장도 기대해 본다.

 


 

뽑기운이 안 좋아서 맴 상한 거 빼고는 스트레스 없이 즐길 수 있는 수작 키트다.

고증을 따지지 않으므로 웨폰 베이와 동체가 결합되는 부분의 유격이랑 이착륙 형태 시 노출되는 민짜 엔진 노즐을 아쉬워하지 말자. (아쉽다)

 

아카데미과학이 온라인 자사몰을 이용한 판로를 점점 늘리고 있다.

한정 발매뿐 아니라 정기 세일도 온라인으로 시도하는데 환영할 일.

거래처 눈치(?)도 보이겠지만 고객 서비스 증진을 전제로 본사가 온라인 시장에 과감하게 개입할 시대는 되지 않았나?

오랜 전통이 축적된 기술력의 아카데미에서 더 나아가 새로운 것에도 빨리 순응하는 세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거 같아서 응원해본다.

 

▲ 사이트에 좀 더 투자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 듯!

아카데미과학 패밀리세일 관련 페이지 히트수가 나쁘지 않다.

어린이날 직전 적당한 시차를 앞두고 물건 한번 빼주시는 기획력이 돋보인다.

많이 파세용!